효소 발효액 품질 검사 시험분석 결과"자료를 공개합니다.

많은 분들께서 기다리시던 우리손으로 직접 담은 "효소 발효액 품질 검사 시험분석 결과"가 드디어 나왔습니다.

자세한 시험분석자료를 보시려면 아래 주소를 클릭해보세요.

 

http://cafe.daum.net/okenzyme/PSim/1756

 

시험분석결과 발효액은 더이상 우리 몸에 해로움의 상징처럼 굳어져버린 설탕물이라는 오명을 씌워서는 안되는 앞으로 무궁무진한 발전전망이 있는 건강식품임이 틀림없다는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관심있으신분들께서는 꼭 방문하시어 읽어보시고

각 카페와 블로그 페이스북,트위터 등을 통해서 더 많은 분들께 전달하여 일부 언론사의 오보와 불공정보도로 폄하된 발효액의 가치를 널리 알리는데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이동석교수님의 공지된 특허 내용을 보면

잎과 줄기, 뿌리가 각각 다른효능을 지니고

있다고 설명되어 있습니다

와송 복용방법

1.생와송 30g~40g 과 물. 요구르트, 우유. 요플레등

(기호에 따라 용량 조절 가능)를 믹서에 갈아서 마십니다.

^^생와송은 먹기 직전에 갈아서 드세요^^

습기에 물러져서 쉽게 상할 수 있습니다.

2.샐러드를 해드셔도 좋습니다

3.삼결살 드실때 쌈과 함께 싸드셔도 좋습니다.

4.생와송만 그냥 씹어드셔도 드실만 합니다.

5.당뇨가 있으신분들은 물만첨가하셔서 드시는편이

가장 좋다고합니다

6. 와송을 중탕으로 먹는방법

건강원에 가시면 20kg정도면 50포짜리 4박스가

만들어 집니다.

7.효소로 담가먹는 방법

와송과 설탕을 1:1 비율로 준비한후

와송을 깨끗이 세척하여 물기를 말려 항아리나 병 등에

와송을 담고 그위에 설탕을 뿌리기를 반복하여 담고

가끔씩 젓어주어 설탕이 잘녹도록 해준다음

약 100일정도 숙성되면 와송 건데기를 건져내고

2차 숙성에 들어가시면 됩니다.

생와송보관방법

1. 냉장 보관

생와송은 습기에 약하므로,

물에 씻지 않은 상태로 종이에싸서

냉장 보관하시면

   한달 정도 보관이 가능합니다.

2. 냉동 보관

생와송을 냉동 보관시에는

생와송을 흐르는 물에 씻어서 보관하시면,

오랜 기간 동안 모양이나 성분 변화없이

1년 내내 생와송을 드실 수 있습니다.

생와송 을 냉동보관 후에 씻어서 드시려고 하면

    와송이 물러지는 경향이 있으니

    반드시 잘 씻은 후 냉동보관 하시기 바랍니다.

출처 : 가평와송
글쓴이 : 가뭄에 단비 원글보기
메모 :

와송- 바위솔.와련화.지붕지기-

1.돌나무과 여러해살이 식물의높이 30㎝, 육질이고 잎은 다닥 다리며 잎자루가 없다.백색 꽃이 9월에 핀다.

2.분포.

제주.경남.경북.강원 함북의 산 바닷가의 바위지붕 등지에서 자란다.

3.채취.

전초를 가을에 채취하여 말린다.

4.주요성분.

kaempferol.quercetin.afzzelin.quercitrin.isoquercitrin등이 함유 되어 있다.

 

 

5.약효.

 

청열.해독.지혈.소종의 효능이 있고,토혈.혈리.간염.치질.습진.화상을 치료 한다.

민간에서는 항암 치료에 널리 사용 하고 있다.

와송은 암 종양의 억제치료에 71%의 효과가 있다는 한의학의 임상경험이 발표됨. 동물(쥐)실험에서 와송의 당액투여로 항암작용이 현저하게 나타났음이 입증. 특히 소화기 계통의 암환자는 77%가 호전, 회복되었다 고함. 학생들이나 사무직 직업에 종사하는 경우, 장시간 의자에 앉아있어 변비가 있는 경우에 와송을 갈아 드시면 심한 경우라도 일주일안에 해결됨.스트레스성 위염이나 속에 가스가 차서 불편한 경우나 위장장애인 경우 와송을 갈아드시면 속이 편안해짐. 각종 종양을 낫게 하는 항종양작용. 아토피가 심한 경우, 갈아서 즙 을 피부에 발라주어도 됨(시원함).화장품대용으로 와송즙을 발라주면 피부가 매끈해짐

 

와송 추출물이 면역체계에 미치는 영향

저자 : 권진.한광수

소속 : 군장대학 의무행정과. 우석대학교 허브자원학과

논문 : 韓藥作誌 (Korean,.J.Medicinal Crop Sci.) 12(4) : 315 - 320 (2004)

와송은 약리적으로 혈관수축 작용과 호흡흥분 작용,장관의 긴장도증강 작용등이 보고되어 있으며한방에서는 해열,소종,지혈,이뇨 등에 사용되고, 민간요법으로 암치료에도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와송추출물의 면역능에 대한 실험적 보고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따라서 와송이 면역계 및 암세포의 아폽토시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와송추출물을 생쥐에 투여한 후 비장 및 흉선세포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햐였으며 T, B 임파구의 아집단분석, 혈청 중 cytokine 생성능 및 생쥐와 사람의 백혈병세포내 아폽토시스에 미치는 효과 등을 관찰하여 얻어진 결과들을 보고하는 바이다. 와송의 면역 및 항암효과를 관찰한 결과 와송은 생쥐의 비 장 및 흉선세표의 생존율을 증가시켰으며, 임파구 아집단분석 결과 비장 T세포를 유의성있게 증가시켰고, L1210세포 및 U937세포 등의 백혈병세포의 아폽토시스를 촉진시키는 항암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와송 다당체 및 올리고당류의 생리활성

저자 : 김기훈.김은영.김예운.백금옥.김한복.이동석

소속: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임상병리학과,인제대학교 바이오헬스 소재 연구센터 호서대학 교 자 연과학부 생명과학전공.

논문 : The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ical ,Vol.40, No.4,December 2004, p 334-341

Copyright 2004 The Microbiological Society of Korea

와송으로부터 고온 고압의 열수 추출로 다당체 조추출물(OJP1)을 얻어 디스크 확산법,fluorescein diacetate(FDA)법 및 액체 배지 희석법을 통하여 세균과 진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또한 Sephadex G-50을 통하여 다당체와 올리고당류를 분리하고, 이들의 항암 활성을 조사하였다.OJP1과 다당체,올리고당의 인체 암세포주와 Sarcoma 180 세포주에 대한 항암 활성을 측정해 본 결과, 이들은 모드 MTT assay와 형태 변화관찰에서 강력한 암세포주 증식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는데, 특히 폐암 세포주인 A549세포와 자궁 경부암 세포주인 HeLa세포,위암 세포주인 AGS에서 현저한 효과를 보였다.더 나아가 DNA 분절화를 통해 apoptosis 유발 여부를 확인해 본 결과, 대조군에 비해서 이들 물질을 처리한 실험군에서 apoptosis 발생을 뜻하는 DNA분절화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요컨대 다당체 조추출물과 다당체,올리고당은 광범위한 병원성 균주에 대하여 효과적인 활성을보였으며, 각종 암세포주에 대하여 현저한 항암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복용법

50포기준으로 와송3.5Kg을 농출하여 하루 2-3회 복용합니다.

따듯하게 마시면 인체에 흡수가 빠르고

처음에는 1-2회 복용하다가 점차 3-4회로 늘리는것이 좋다.

생초로 복용시 1-3개를 요구르트 2개와 같이 믹서기에 갈아서

1컵씩 하루에 3회 복용생으로

달여마시는 방법은 와송양에 물에진하게 달여 마시면 됩니다.

증상에따라 용량을 늘리세요.

건초로 복용할때는 물 1되에 와송60g 정도를 넣고

약한불로 1/2 절반이하가 되도록 진하게 달여서

따듯하게 복용 공복에 1컵씩 하루 2회 복용하며

이것또한 증상에 따라 용량을 3-4회 늘려 가세요.

글 출처: 시와음악이있는놀빛소묘

사진출처: 가평와송

출처 : 친환경 천사들
글쓴이 : 가평와송 원글보기
메모 :

[2013년7월26일 촬영]

재혁이가 일병을 달고~

첫 휴가를 마치고 귀대하던 날 집 앞에서 ~

3박4일의 시간은 순식간에 가네요.

 

첨에 입대 하던 때와는 완전히 바뀐 모습입니다.

제법 어른스러워진 재혁이의 모습이

듬직합니다.

그래도~

헤어져야 하는 이 순간이 몹시 힘이 드네요.

본인이 가기싫어 하는 모습을 않하고

밝은 모습으로 가니 한시름 놓입니다.

키타랑 엠프를 어디서 구해가지고 와서 부대로 갖고 간다네요.

사랑하는 아들~

도착하는대로 전화하고

조심해서 잘 가거라~

 

함께 있으려니 마음이 편치않아 저는 차를 몰고

배달을 하러 가버렸어요.

 재혁이 친구 은정이 입니다.

이번 휴가때 함께 시간을 보내줘서 고맙지요.

예쁜 은정아~

고맙단다.

 

 

 

 

'[ 다른 이야기들 ] >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모님 팔순 날(2)  (0) 2013.08.11
장모님 팔순 날(1)  (0) 2013.08.11
독립문 보수공사  (0) 2013.07.21
농장에서 먹는 아내표 도시락  (0) 2013.07.21
참외와 호박  (0) 2013.07.14

지지난 주에 아내가 찍은 것인데

이제서야 사진을 올립니다.

이렇게 크기 시작하면 빠른 속도로 큽니다.

어제(2013.7.27. 토요일)는 완전히 익은 것 한 송이를 따서

 비닐하우스 안에 놓고 왔어요.

넝쿨을 들춰보니 여기저기 제법 많이 달려 있습니다.

 

'[ 다른 이야기들 ] > 슈퍼여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슈퍼여주 5Kg 분량  (0) 2013.08.04
슈퍼여주 첫 수확  (0) 2013.08.04
여주  (0) 2013.07.21
여주(슈퍼여주)  (0) 2013.07.14
슈퍼여주[2013.7.2 촬영]  (0) 2013.07.03

주일 아침은 가족 모두가 시간에 쫒기듯 바쁩니다.

어제 농장에서 채취해 온 와송을 곁들인

오늘 아침 메뉴입니다.

 

 

 

 

 

요렇게 간단히 손질해서 믹서기로 냅다 갈면~~

'[ 와송 이야기 ] > 와송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와송이 이상하게 생겼어요.  (0) 2013.09.15
와송모습  (0) 2013.08.18
와송종근 채취[2013.3.22 촬영]  (0) 2013.03.24
와송 채취 (2) [2013.3.9 촬영]  (0) 2013.03.10
와송 채취 (1) [2013.3.9 촬영]  (0) 2013.03.10

 

 

 

 

 

 

 

곧바로 주인을 찾아 갈 것은 이대로 담았습니다.

신문지로 요렇게 말아서 냉장고에 보관합니다.

 

 

 

 

'[ 와송 이야기 ] > 와송키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와송 농장  (0) 2013.08.04
와송 농장  (0) 2013.08.04
와송 첫 수확했어요(1)  (0) 2013.07.28
범인을 찾았어요  (0) 2013.07.28
와송 이름은?  (0) 2013.07.21

[2013년7월27일 촬영]

지난 7월21일~22일 사이에

아마도 제 생애 제일 많이 내린 비가 아닌가 기억됩니다.

짧은 시간에 ~

시간당 100mm이상이 내린 기억이 없거든요.

300mm이상 내린 제 고향 여주에는 여기저기 침수로인해 차량이 통제되는등

물로인한 피해가 많았습니다.

다행이도 제 농장엔 물이 차지 않았습니다.

 

농장엘 바로 갈 수 없는 입장이라

몹시도 궁금하던 차 오늘에야 가게되었어요.

많이 내린 비로인해 와송이 물러서 죽는 것이 있네요.

끝내 아내와 상의끝에 자르기로 결정~

 

총 10Kg정도가 되는군요.

 

 

 

 

 

 

 

 

자르고 난 뒤의 모습입니다.

 

 

 

'[ 와송 이야기 ] > 와송키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와송 농장  (0) 2013.08.04
와송 첫 수확 했어요(2)  (0) 2013.07.28
범인을 찾았어요  (0) 2013.07.28
와송 이름은?  (0) 2013.07.21
와송  (0) 2013.07.21

[2013.7.20 촬영]

와송 잎을 여기저기 갉아먹은 흔적이 여기저기 보였어요.

아내가 드디어 범인을 잡았어요.

요놈들의 소행임을 알게 되었죠.

 

'[ 와송 이야기 ] > 와송키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와송 첫 수확 했어요(2)  (0) 2013.07.28
와송 첫 수확했어요(1)  (0) 2013.07.28
와송 이름은?  (0) 2013.07.21
와송  (0) 2013.07.21
와송  (0) 2013.07.21

지난번에 저희 농장에 개똥쑥을 구하시러 오신 손님들 모습입니다.

사진이 빠진 것이 있어 다시 올립니다.

 

[개똥쑥 구입문의:010-2433-4417]

 

'[ 2013년 개똥쑥 농사 ] > 개똥쑥 가남1농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미가 되는 순간을 포착~  (0) 2013.08.11
느티나무 그늘아래 평상에서 점심을~  (0) 2013.08.04
개똥쑥  (0) 2013.07.21
개똥쑥 농장의 평상  (0) 2013.07.14
개똥쑥  (0) 2013.07.14

+ Recent posts